국정 홍보 광고, 어떤 식으로 하는 게 좋을까

며칠 전 인터넷 서핑 중 흥미로운 기사를 하나 봤다. 구글이 대한민국 정부가 집행하는 광고를 대거 수주하고 있는데, 그 물량이 해가 갈수록 크게 늘고 있다는 것.

구글, 정부 광고 수주액 4년새 86% 폭증 “세금 광고 몰아줬다”(뉴스1)

한국언론진흥재단에 따르면, 구글이 정부 광고 수주에서 1등이다

기사는 그 제목에서도 알 수 있다시피, 구글의 정부 광고 수주를 다분히 비판적으로 조명하고 있다. 뉴스의 소비자들이 특히 민감하게 반응할 만한 ‘세금’이란 단어를 쓴 것부터 뭔가 색안경을 끼고 보게 만드는 것. 물론 기사 말미에 나온 것처럼 구글이 국내에서 사업을 벌이면서 매출을 고의로 낮게 잡아 우리나라에 마땅히 내야 할 세금을 적게 내고 있다는 문제(사실 이게 어제 오늘의 일은 아니다)는 충분히 지적해야 할 일이지만, 기사 전체의 뉘앙스는 ‘유튜브가 지상파 TV보다 많은 광고를 수주하는 것이 다소 문제가 있는 일 아닌가’하는 식으로 보이는 것이다.

그러나 이는 따지고 보면 지상파 TV의 영향력 자체가 유튜브에 비해 이미 많이 떨어졌다는 이야기이기도 하다. 사실 요즘 노인들 아니고서야 KBS나 MBC 같은 지상파 채널의 프로그램을 제 시간에 ‘본방사수’하는 경우가 얼마나 되겠는가? 유튜브가 지난 4년간 수주한 정부 광고 물량은 86%가 늘긴 했지만, 기사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 바, 정부 광고 전체 예산의 약 5.4%가 구글 몫이라고 한다. 정확한 데이터를 구하기가 어려워 정확히 확인하기는 힘들지만, 요즘 일반 기업 치고 전체 광고 예산의 5.4%를 유튜브에 편성한다고 하면 지나치게 적게 책정한 거라는 소리 듣기에 딱 좋을 것이다.

오히려 정부가 ‘아직까지도’ 지상파 TV 방송국에 연간 수백억씩이나 들여가며 광고를 한다는 게 의아할 정도. 사실 기사에선 언급조차 안 했지만 신문이나 잡지 같은 지면광고나 옥외광고 같은 경우도 여전히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광고가 많이 들어가는 매체이기도 하다. 아직도 구청이나 군청, 읍/면사무소 등에 가면 중앙일간지는 물론 지역신문이 수십 벌씩 매일 배달되고 있는 걸 볼 수 있을 정도니.

앞으로 유튜브(온라인) 광고는 더 많아질 것이다

한 가지 덧붙이면, 정부나 지자체의 홍보 광고는 유튜브를 포함한 온라인 플랫폼에서 앞으로 더 많이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. 이와 같은 광고의 타깃이 대한민국 전체 시민이라고 한다면, 광고의 소비 트렌드 자체가 매우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기도 하고 온라인/디지털 광고의 가장 큰 장점인 각종 반영 지수를 확인하는 일이 쉽기 때문이기도 하다. 업계에서 CPM(Cost per Mille: 1천회 노출 당 비용)이니 CPA(Cost per Action: 소비자의 실행을 위해 사용된 비용)니 하는 용어로 지칭하는 부분이 바로 그런 것.

어쨌든 세상은 우리 생각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달라지고 있는 중이다. 이런 상황에서 국정 홍보 광고는 어떤 식으로 하는 게 좋을지, 담당자 분들은 부디 머리 싸매고 고민해서 훌륭한 결과를 보여주시기 바랍니다(?). ㅋㅋㅋ

답글 남기기